우리가 살면서 간염에 대한 인식을 하면서 생활하기가 쉽지 않아서 매년 7월 28일에는 간 건강을 지키기 위해 세계 보건기구(WHO)에 의해 제정된 '세계 간염의 날' 행사를 진행한다고 합니다. C형 간염은 조기에 발견하면 완치가 가능한데 많은 환자들이 인지를 못하고 오랜 시간이 흐른 뒤에 발견하여 만성간염, 간경변, 간암 등으로 뒤늦게 발견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C형 간염은 40세 이상이면 꼭! 검사받기를 권장한다고 하네요.
C형 간염
C형 간염은 C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어 발생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체액 또는 혈액을 통해서 전파되는 법정 감염병으로 우리나라에는 약 1% 정도가 C형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C형 간염에 감염이 되면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적어서 환자가 인지를 못하고 방치가 되는 경우가 흔하다고 합니다. 일단, 감염이 되면 70~80%가 만성간염으로 진행하고 이 중에서 40% 정도가 간경변증이나 간암으로 진행한다는 점 때문에 예방과
조기치료가 매우 중요하다고 합니다.
40세 이상이면 선별검사 권장
고령인구에서 간암의 발생이 많아지는데요. 이것은 만성 간질환 환자가 60세가 넘으면 간암의 발생 위험이 급격히 커지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C형 간염의 종식을 위해서 조기 선별검사와 치료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C형 간염을 조기에 진단하면 치료 성공률도 높고 초기 치료의 경우에는 약 2~3개월의 치료기간으로 충분하다고 합니다. 최근에는 효과도 좋고 부작용이 거의 없는 먹는 약이 있어서 40세 이상이면 C형간염의 여부를 한번 쯤 확인하는 것을 추천하고 있으며 간단한 혈액검사를 통해서 감염여부와 치료에 대해서 평가할 수 있다고 합니다.
C형간염 전염에 대한 주의점
C형 간염 전염은 체액이나 혈액으로 전파가 되므로 C형간염에 걸렸다면 같이 생활하는 가족들도 C형간염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C형간염 환자의 혈액이 묻을 수 있는 면도기, 손톱깎이, 칫솔 등은 공동으로 사용을 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상적인 접촉으로는 전염이 안되기 때문에 가족 간에 식기 사용을 따로 사용하는 정도까지는 괜찮다고 합니다.
간에 좋다는 음식들을 찾아서 먹는 것보다는 균형 잡힌 식단을 유지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하네요. 마지막으로, 의사 선생님께서 항상 강조하시는 금주와 금연입니다!!! 음주와 흡연은 C형 간염 환자의 간 기능을 악화시키면서 간암 발생의 가능성을 높인다고 합니다.
C형 간염은 조기 발견하면 먹는 약으로도 완치가 가능하다고 하니 40세 이상이면 예방을 위해서 꼭! 검사받기를 권유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 제철 과일 효능과 보관 법! (0) | 2021.07.27 |
---|---|
수면무호흡증이란? (0) | 2021.07.25 |
7월 26일부터 50대 대상 모더나, 화이자 백신 예방 접종 시작! (0) | 2021.07.23 |
장 건강은 장내 세균! (0) | 2021.07.22 |
유채의 효능 (0) | 2021.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