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수면무호흡증이란?

by 화이트베어0507 2021. 7. 25.
728x90

수면무호흡이란 수면 중에 최소 10초 이상의 호흡이 멈추는 상황을 말하고, 폐쇄성 수면무호흡과 중추성 수면무호흡으로 분류됩니다. 저 호흡은 호흡이 정지하지 않고 호흡량이 반 이하로 감소하여 혈액 내 산소 농도가 떨어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수면을-취하고-있는-여자-모습
수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숨을 쉬려고 하는 시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강 내 기도가 폐쇄되는 증상을 말합니다.

진단기준 : 01. 주간 과도 졸음증이 있음  02. 수면 중 반복해서 깸  03. 수면 후에도 개운치 않음 

              04. 수면 중 숨막힘  05. 주간 피로와 집중력 저하 

              5가지 증상 중에서 2가지 증상이 있으면서 수면다원검사에서 수면 호흡장애를 보이면 해당됩니다.

수면호흡장애란 무호흡이나 저 호흡이 시간당 5~15회 미만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경증, 15~30회 미만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중등, 30회 이상인 경우를 중증으로 분류합니다. 

 

수면무호흡의 90% 이상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고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가장 큰 원인은 수면 중에 상기도가 좁아지게 되는 것이라고 하는데요. 수면무호흡 환자에게서 흔히 관찰할 수 있는 증상이라고 하고요. 노력에 의해서 기도가 확장이 되게 되면 공기가 통과하는데 문제가 없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수면무호흡이 일어난다고 합니다. 즉, 수면무호흡은 인두 기도가 좁아지면서 기도 확장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를 말합니다.

 

 

중추성 수면무호흡

숨을 쉬려고 하는 시도 자체가 일시적으로 정지를 보이는 증상을 말합니다.

 

 

수면다원검사

수면다원검사란 피검자가 자는 동안 여러가지 신체의 변화를 측정하고 수면질환의 여부와 정도 그리고 형태에 대해서  살펴보는 검사입니다. 수면무호흡증의 진단에 가장 중요한 검사로 7가지 검사를 동시에 시행한다고 합니다. 검사방법    은 가슴과 복부의 호흡 운동, 근전도, 뇌파, 수면 중 코와 입을 통한 공기의 출입, 심전도, 안구운동, 혈중 산소포화도가    있습니다. 수면다원검사를 통해서 수면무호흡증을 확진하고 그 정도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도 언급을 했지만

무호흡의 원인에 따라서 대뇌로 부터 호흡 자체가 일시적으로 정지를 보이는 중추성 수면무호흡증, 숨을 쉬려는 하는    의도는 있으나 기도의 일부가 막혀서 생기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2가지가 혼합된 혼합성 수면무호흡증으로 구별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검사에 필요한 장비가 많이 필요하고 이 장비를 만지는 숙달된 검사자가 있어야 하고 시간    과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