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통곡물과 소화기 계통 암과의 관계는?

by 화이트베어0507 2021. 9. 5.
728x90

통곡물의 영양학적 가치가 매우 높다고 하는데요. 함유하고 있는 식이섬유를 비롯해서 미네랄과 비타민 그리고 항산화물질이 면역력 향상을 돕는다고 합니다. 그래서 요즘 같은 코로나19 시대에 매우 중요하게 여기는 면역력을 유지시켜 주는 훌륭한 식재료라고 하네요. 또한, 섭취 후 포만감을 오래 유지시켜 주기 때문에 다이어트 필수 식단이고 이러한 이유로 농촌진흥청에서는 "면역력과 신체의 활력을 높여주는 파워푸드"라고 소개를 했다고 합니다.

 

 

통곡물이-들어간-식빵
통곡물

 

통곡물의 가치

국제 학술지인 '바이오메드 센트럴 영양"(BMC Nutrition) 저널에 실린 중국 후난 성 정저우 대학의 연구에 의하면 전 세계 지역의 260만 명을 대상으로 통곡물을 많이 섭취하는 집단과 가장 적게 섭취하는 집단을 27년 동안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통곡물을 많이 섭취하는 집단의 소화기 계통 암 발생률이 22%나 낮았다고 합니다. 또한, 대장암의 위험이 11%, 위암 36%, 식도암 47%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식단과 암 위험

우리가 식사를 하는 식단과 암 위험과의 관계는 많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고지방, 고칼로리의 서양식 식생활이 소화기 계통 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진들은 많은 주목을 하고 있고 그 대상은 가공식품, 육류 식단, 햄버거와 같은 패스트푸드가 대상이라고 합니다. 국내에서 많이 발생하는 질환이고 전 세계적으로 발병률과 사망률에서 상위 10개 암에 속하고 있는 소화기 계통의 암은 대장암, 식도암, 위암이라고 하는데요. 2017년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국가 암 등록 통계'에 따르면 신규 암 환자 중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 위암은 12.8%를 차지하고 있으며 남자는 위암, 폐암, 대장암, 전립선암 순으로 여자는 유방암, 갑상선암, 대장암, 위암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고 합니다.

 

 

통곡물과 암

통곡물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서 암 발생에 영향을 준다고 연구진들이 분석을 했는데요. 통곡물을 섭취하면 체내 장내 세균이 통곡물이 함유하고 있는 식이섬유를 단쇄 지방산(장내 세균이 식이섬유를 먹으면서 만들어내는 물질)으로 발효시킨 후 흡수를 합니다. 이런 과정으로 생성된 단쇄 지방산인 부틸 레이트(Butyrate)는 종양의 성장을 막는데 기여한다고 합니다. 세포의 에너지를 공급하고 장의 운동성을 높이면서 장의 산도(PH)를 떨어뜨려 병원균의 정착을 방해하면서 장내 미생물의 환경을 건강하게 만듭니다. 또한, 식이섬유는 위암을 높이는 아질산염의 제거에도 도움을 준다고 하네요.

통곡물이 소화기 계통 암 예방에 도움을 주는 건강식 식이 지침이라고 결론을 지었다고 합니다.